모리 마사유키 (배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리 마사유키는 1911년 삿포로에서 태어나 1973년 사망한 일본의 배우이다. 그는 교토 제국대학 문학부 철학과에 입학했으나 중퇴 후 연극계에 입문하여 테아틀 코메디, 문학좌 등에서 활동하며 연극 배우로 입지를 다졌다. 1942년 영화에 데뷔하여 미조구치 겐지, 구로사와 아키라, 나루세 미키오 등 유명 감독들의 작품에 출연하며 젠틀맨 역할을 주로 맡아 인기를 얻었다. 영화 《라쇼몽》, 《우게츠 이야기》, 《부운》 등에 출연하여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았으며, 1956년 텔레비전 드라마에도 출연하며 활동 영역을 넓혔다. 그는 1973년 직장암으로 사망했으며, 일본 영화 황금기를 대표하는 배우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리시마가 - 아리시마 다케오
아리시마 다케오는 기독교적 시각과 사회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인간의 삶과 사회를 탐구한 일본의 소설가이자 사회 비평가로, 대표작으로 《카인의 후예》 등이 있으며, 하타노 아키코와의 비극적인 사건으로 자살했다. - 삿포로시 출신 - 이즈미 겐타
이즈미 겐타는 1974년 홋카이도 삿포로에서 태어나 2003년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된 후 민주당 정권에서 내각부 부대신을 역임하고, 2021년 입헌민주당 대표가 되어 중도 자유주의, 진보주의적 입장을 표방하는 일본의 정치인이다. - 삿포로시 출신 - 타나카 리에 (성우)
타나카 리에는 일본의 여성 성우이자 가수로, 초등학교 시절 독서부 활동을 통해 성우의 꿈을 키워 1999년 데뷔 후 《초비츠》의 치이, 《기동전사 건담 SEED》의 라크스 클라인 등 인기 애니메이션에서 주요 배역을 맡았으며, 앨범 발매 및 유튜브 채널 운영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1973년 사망 - 여운홍
여운홍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임시정부 활동에 참여하고 해방 후 과도입법의원과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친일 행적 의혹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정치인이다. - 1973년 사망 - 린든 B. 존슨
린든 B. 존슨은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후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위대한 사회"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 개혁을 추진하고 시민권법과 투표권법을 통과시켰으나, 베트남 전쟁 개입으로 비판을 받으며 정치적 유산에 영향을 받았다.
모리 마사유키 (배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아리시마 유키미쓰 |
출생지 |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 군 가미시로이시촌 (현재의 삿포로시 시로이시구) |
사망지 | 일본 도쿄 |
국적 | 일본 |
신장 | 165 cm |
직업 | 배우 |
활동 기간 | 1931년 - 1973년 |
가족 | |
조부 | 아리시마 다케시 |
조부 | 가미오 미쓰오미 |
아버지 | 아리시마 다케오 |
어머니 | 아리시마 야스코 |
숙부 | 아리시마 이쿠마 |
숙부 | 사토미 돈 |
첩 | 우메가 후미코 |
딸 | 나카지마 아오이 |
수상 | |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남우연기상 | 1947년 안조 가의 무도회 |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남우조연상 | 1960년 오토토, 나쁜 놈일수록 잘 잔다 |
주요 작품 | |
영화 | 안조 가의 무도회 라쇼몽 우게쓰 이야기 (1953년) 백치 부운 나쁜 놈일수록 잘 잔다 |
2. 생애
모리 마사유키는 1911년 아리시마 다케오의 장남으로 삿포로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부모를 여의고 아리시마 이쿠마 등 삼촌들의 손에서 자랐다.[1] 세이조 고등학교 졸업 후 교토 제국대학 문학부에 입학했으나, 배우의 꿈과 건강 문제로 중퇴했다.[1]
1931년 테아틀 코메디 극단에 참여하며 '모리 마사유키'라는 예명으로 배우 활동을 시작했으나, 결핵으로 4년간 투병했다. 1937년 문학좌(文學座) 결성에 참여,[3] 1944년 「격랑(怒濤)」에서 기타사토 시바사부로 역으로 호평받으며 전쟁 전 연극계에서 확고한 지위를 쌓았다.
1942년 영화 데뷔 후, 1947년 『안조가의 무도회』에서 몰락 귀족 역으로 주목받았다.[1] 1948년 『나의 생애 가장 빛나는 날(わが生涯のかがやける日)』에서 야마구치 요시코(山口淑子)와의 키스신으로 화제를 모으며 영화계 황금기를 맞았다.[1] 1950년대 『우게쓰 이야기』, 『라쇼몬』, 『떠도는 구름』 등에 출연, 지적이고 냉소적인 역할로 국제적 명성을 얻었다.
1956년 TV 드라마에도 진출, 활동 영역을 넓혔다. 1973년 10월 7일 직장암으로 사망(향년 62세).[1] 유작은 1972년 영화 검과 꽃, TV 유작은 1973년 드라마 『코차반바 행(コチャバンバ行き)』이다.[1]
2. 1. 초기 생애 (1911년 ~ 1931년)
有島武郎|아리시마 다케오일본어가 삿포로에서 교사로 일하던 1911년, 아리시마 다케오와 육군대장이자 남작이었던 神尾光臣|가미오 미쓰오미일본어의 딸 야스코(安子)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남동생이 두 명 있었다.3세까지 삿포로에서 살았으나, 1914년에 어머니가 결핵에 걸려 가족 모두 도쿄 고지마치의 아리시마 저택으로 이사했다. 그러나 1916년 어머니를 여의고, 1923년에는 아버지 아리시마를 정신병원에서 잃었다. 이후 두 남동생과 함께 삼촌인 有島生馬|아리시마 이쿠마일본어 등의 손에서 자랐다.[1]
1922년 지요다구립 반초 초등학교에서 세이조 초등학교로 전학했고, 1931년 구제 세이조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같은 해 교토 제국대학 문학부 철학과 미학미술사 전공에 입학했으나 중퇴했다. 중퇴 이유에 대해서는 이듬해 흉부 카리에스(결핵성 골염)에 걸려 4년간 투병 생활을 한 것이 이유라는 설과, 배우가 되고 싶다는 마음이 강해져 학업보다 연극을 선택했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1]
2. 2. 연극계 입문과 문학좌 활동 (1931년 ~ 1944년)
1925년에 츠키지 소극장을 방문하여 감명을 받은 것을 계기로[3], 세이죠 고등학교 시절부터 무대 배우를 지망하게 된다. 1930년에 같은 극단의 「용감한 병사 슈베이크의 모험」에 엑스트라로 출연한다.1931년, 게이오기주쿠 대학 불문과의 가네스기 준로, 프랑스 귀국자인 나가오카 데루코를 중심으로 도시파 모던 학생 극단인 테아틀 코메디(テアトル・コメディ)가 결성되어 참가한다. 첫 공연부터 예명인 모리 마사유키(森 雅之)를 사용하기 시작하여, 「연극은 주문 제작」 등의 연기로 장래가 기대되었으나, 이 무렵 흉부 결핵(카리에스)에 걸려 약 4년간 투병 생활을 보냈다.
병이 나은 후인 1937년, 기시다 구니오, 이와타 도요오 등의 문학좌(文學座) 결성에 참여[3]하여 본격적으로 배우로서 생계를 꾸리기로 결심한다. 코미디와 연애극에서 세련된 연기로 주목을 받아 1940년에 스기무라 하루코, 미쓰다 겐과 함께 문학좌 정무 위원이 된다. 1943년에는 스기무라와 부부 역을 연기한 「전원(田園)」이 장기 공연되었고, 이듬해인 1944년에는 기타사토 시바사부로를 연기한 「격랑(怒濤)」에서 노역으로 절찬을 받았다. 전쟁 전 무대 연극계에서 확고한 지위를 쌓았지만, 같은 해 문학좌를 퇴단한다.
2. 3. 전후 활동과 영화계 진출 (1945년 ~ 1973년)
모리 마사유키는 초기에는 영화 출연에 소극적이었으나, 1942년 31세 때 문학좌가 제휴 출연한 도호(東宝) 작품 『어머니의 지도(母の地図)』로 영화에 데뷔했다. 1947년 쇼치쿠(松竹) 영화 『안조가의 무도회』에서 몰락한 귀족의 장남 역으로 주목받았다.[1] 1948년 영화 『나의 생애 가장 빛나는 날(わが生涯のかがやける日)』에서는 전 야마구치 요시코(山口淑子)와의 키스신이 화제가 되었다.[1] 이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영화계에 진출하였고, 이 무렵부터 모리 마사유키의 영화 황금기가 시작되었다.[1]1950년대를 중심으로 미조구치 겐지 감독의 『우게쓰 이야기』,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라쇼몬』, 나루세 미키오 감독의 『떠도는 구름』 등에서 지적이고 냉소적인 젠틀맨 역을 맡아 연기파 톱스타로 활약했다. 모리가 출연한 영화는 미국 아카데미상과 세계 3대 영화제(칸, 베니스, 베를린)에서 모두 수상하여 4관왕을 달성했다.
1956년, 예술제 장려상 수상작 『승리자(勝利者)』로 텔레비전에 첫 출연했고, 이후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도 활동 영역을 넓혔다.
2. 4. 사망
1973년 10월 7일, 지케이 의대 부속병원에서 직장암으로 사망하였다. 향년 62세. 묘소는 다마령원에 있다. 1972년 영화 검과 꽃이 유작 영화가 되었고, 1973년 도호 현대극 신춘 특별 공연 『여교(女橋)』의 아버지 역이 마지막 무대 출연이었으며, 같은 해 9월 8일 방송된 NHK 드라마 『코차반바 행(コチャバンバ行き)』이 TV 유작이 되었다. 이 두 작품에 출연할 당시 이미 병마에 시달리고 있었으며, 병약한 몸으로 일을 했다.[1]3. 사생활
모리 마사유키는 5세 때 어머니를 결핵으로 잃었고, 어렸기 때문에 어머니에 대한 기억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모리가 세이조 중학교(成城中学校)에 진학한 지 2개월 후, 아버지 아리시마 타케로(有島武郎)는 다른 여자와의 불륜 끝에 동반 자살했다. 1948년 잡지 「미모(美貌)」 인터뷰에서 "아버지의 기사가 크게 실린 것을 보고 마치 감전된 것처럼 놀랐다. 그때의 충격은 평생 잊을 수 없을 것이다"라고 말했다.[7]
예명을 "모리 마사유키(森雅之)"로 한 것은 부모의 명성에 기대려는 것을 싫어했기 때문이지만, 데뷔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언론에 의해 "아리시마 타케로(有島武郎)의 아들"임이 알려지게 되었다.[7] 다자이 오사무(太宰治)가 자살했을 때, 언론은 아리시마 타케로(有島武郎)의 죽음과의 유사성에 대해 모리의 의견을 구했기 때문에, 모리는 매우 불쾌하게 생각했고, "나와는 상관없다. 아버지의 소설을 별로 읽지 않은 것도, 그 이면에 있는 것이 친척으로서 괴로워서 그런 것이다"라는 말을 남겼다.[7] 반면, "아리시마 타케로(有島武郎)를 아버지로 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면서 어릴 적 자주 노가쿠(能楽) 관람에 데려가졌던 것을 언급하며 "아버지가 나에게 남긴 것이라고 한다면 (… ) 내가 모르는 사이에 연극 일을 하게 된 동기 정도일 것이다"라고도 말했다.[8]
아리시마 기념관의 주임 학예연구원(2021년 10월 현재)은 "모리 씨는 자살한 아버지에 대해 애증이 섞인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전후 모리 씨가 스타가 되었을 때의 연기에서는 해외 경험이 풍부한 지식인 아리시마 가문(有島一族)의 혈통과 출생지인 홋카이도(北海道)의 대륙적인 분위기를 느낍니다"라고 평가했다.[7]
아리시마(有島)의 죽음 후, 모리를 포함한 3형제는 아리시마 이쿠마(有島生馬)에게 맡겨졌기 때문에, 모리는 생애 동안 이쿠마(生馬)를 존경했다. 연예계에 들어간 후에도 모리는 매년 정월 인사를 잊지 않고 이쿠마(生馬)를 찾아 아리시마(有島)의 추억 이야기를 나누었다고 한다.[7]
1946년 6월, 모리 마사유키(森雅之)는 닛테이극장(帝劇) 무대극 「한여름밤의 꿈」(真夏の夜の夢)에서 함께 출연한 닛카쓰 댄싱팀(日劇ダンシングチーム) 댄서 요시다 토시에(吉田順江)와 불륜 관계를 맺었다. 같은 해 말, 이미 파탄에 이른 호리코시(堀越)와의 결혼 생활을 정리하고 이혼한 직후, 토시에와 재혼하여 2년 후 토시에 사이에서 모리의 차남이 되는 아들을 낳았다. 하지만 이 결혼 생활에서도 모리는 여전히 잦은 바람을 피웠고, 바람이 발각될 때마다 명배우 모리는 진심 어린 연기로 아내에게 온 힘을 다해 사과하고 용서를 구하는 것이 일상이었다.
이처럼 모리는 플레이보이였지만, 집에 있을 때는 항상 아내와 자식을 생각하는 다정하고 좋은 남편으로 행동했고, 그런 모리를 진심으로 사랑했던 토시에는 남편이 바람을 피워도 결국 용서했으며, 두 사람은 평생을 함께했다. 후에 모리의 차남은 “아버지의 여성 관계는 화려했지만, 이상하게도 가정이 붕괴되는 일은 없었다. 이것은 아버지를 배우로 존경했던 어머니가 포용력 있게 대해준 것이 큰 역할을 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회상하고 있다. 그런데 차남에 따르면 “아버지는 항상 재즈 선율을 휘파람으로 불면서 귀가하셨기 때문에 현관문을 열기도 전에 아버지의 귀가를 알 수 있었다.”고 한다.
4. 출연 작품
모리 마사유키는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 연극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연도 | 제목 | 역할 | 감독 | 비고 |
---|---|---|---|---|
1945 | 호랑이꼬리를 밟는 사람들 | 카메이 | 구로사와 아키라 | |
1945 | 스가타 산시로 후편 | 구로사와 아키라 | ||
1950 | 라쇼몽 | 무명의 사무라이 | 구로사와 아키라 | |
1951 | 바보 | 구로사와 아키라 | ||
1951 | 무사시노의 여인 | 미조구치 겐지 | ||
1953 | 우게쯔 이야기 | 겐쥬로 | 미조구치 겐지 | |
1953 | 형제 | 이노키치 | 나루세 미키오 | |
1955 | 떠돌이 구름 | 토미오카 켄고 | 나루세 미키오 | |
1955 | 양귀비 | 현종 | 미조구치 겐지 | |
1955 | 마음 | 노부치 | 이치카와 곤 | |
1958 | 밤의 북 | 이마이 타다시 | ||
1960 | 나쁜 놈일수록 잘 잔다 | 이와부치 | 구로사와 아키라 | |
1960 | 여자가 계단을 오를 때 | 나루세 미키오 | ||
1960 | 남동생 | 이치카와 곤 | ||
1960 | 딸들, 아내들 그리고 어머니 | 나루세 미키오 | ||
1961 | 아내로서, 여자로서 | 코노 케이지로 | 나루세 미키오 | |
1963 | 무사도, 사무라이 사가 | 이마이 타다시 | ||
1963 | 태평양의 고독 | 이치카와 곤 | ||
1963 | 빛나는 바다 | 나카히라 코스케 | ||
1968 | 야마모토 이소로쿠 | 코노에 후미마로 | 마루야마 세이지 | [1] |
1970 | 자토이치는 불축제에 간다 | 암흑대왕 | 미스미 켄지 |
연도 | 제목 | 역할 | 방송사 | 비고 |
---|---|---|---|---|
1956 | 승리자 | 음악가를 지망했던 은행원 | KR텔레비전 | 예술제 장려상 수상작 |
1958 | 고향의 소리 | NHK | ||
1958-1960 | 부부백경 | 일본텔레비전 | ||
32년 만의 재회 (1958년) | ||||
어렴풋한 모습 (1959년) | ||||
순종적인 남편 (1959년) | ||||
1959 | 바꿔치기 부부 | 일본텔레비전 | ||
1960 | 태평한 부부 | 일본텔레비전 | ||
1958 | 고드름 | 일본텔레비전 | ||
1958 | 어머니 - 니시긴자의 맘 | KR텔레비전 | ||
1958-1967 | 도시바 일요극장 | |||
편지 (1958년, 주부일본방송) | ||||
맘모스 타워 (1958년, KR텔레비전) - 영화사 제작본부장 역 | ||||
어린 장미 (1961년, TBS) - 프랑스 귀국파 바텐더 역 | ||||
스미다가와 (1962년, TBS) - 아사쿠사의 옷감 도매상 주인 역 | ||||
1962 | 어렴풋한 모습의 여자 | 고케닌 모리 요헤이 | TBS | |
1967 | 노란 우산 | TBS | ||
1959 | 시타마치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59 | 가면 | 후지텔레비전 | ||
1959 | 푸른 옷의 사람 | NET | ||
1959 | 가을 | 일본텔레비전 | ||
1959 | 연애 예절 | 일본텔레비전 | ||
무대 장치 / 유혹 | ||||
1959 | 청춘 리포트 선물 | 일본텔레비전 | ||
1959 | 붉은 구름 | 일본텔레비전 | ||
1959 | H·D 어느 호텔 직원 | NHK | ||
1959 | 도쿄의 유령 | 일본텔레비전 | ||
1959 | 귀신의 눈물 | 일본텔레비전 | ||
1959 | 현대 행복 독본 사랑에 관하여 | 일본텔레비전 | ||
1959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시리즈 제4회 「가을」 | 일본텔레비전 | ||
1959 | 집행유예 | 후지텔레비전 | ||
1959 | 병살 (더블 플레이)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59 | 집념 | 일본텔레비전 | ||
1959 | 코조·코토시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0 | 연인의 매력 | 일본텔레비전 | ||
1960 | 열대어 | 회사원 | 일본텔레비전 | |
1960 | 오빠와 여동생 | 이노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0 | 검은 나뭇잎 | 후지텔레비전 | ||
1960 | 겨울의 신사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0 | 말레이에서 죽다 | 해군 대좌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0 | 내가 선택한 사람 | 기요미야 약혼 취재를 맡은 데스크 | 일본텔레비전 | |
1960 | 외로운 사람 | 단치에 사는 회사원 | 일본텔레비전 | |
1960 | 목숨 짧다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0 | 각광 | 후지텔레비전 | ||
1960 | 아름다운 나날 | 의사 | 일본텔레비전 | |
1960 | 돌고 도는 인생 인연 | 메이지 초기의 여행 상인 | 일본텔레비전 | |
1960 | 붉은 달 | 후지텔레비전 | ||
1960 | 비 온 뒤에 또 비 | NHK | ||
1960 | 부부백경 - 집의 황후님 | 미술학교 출신 장인 | 일본텔레비전 | |
1960 | 국화의 맹세 | 일본텔레비전 | ||
1960 | 여자의 사계 - 여신 | NET | ||
1960 | 아버지 | 하기와라 사쿠타로 | NHK | |
1960 | 실수로 시작된 | 잘나가는 디자이너 | 일본텔레비전 | |
1960 | 많은 아내 | 일곱 명의 아내를 둔 텔레비전 배우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0 | 명승부 이야기 황금술의 패자 | 일본텔레비전 | ||
1960 | 상처 | 경리부 차장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1 | 부부백경 - 굳건한 부부 | 일본텔레비전 | ||
1961 | 웨딩 마치 | 일본텔레비전 | ||
1961 | 거짓말 | 요리사 가페이지 | 일본텔레비전 | |
1961 | 결정적 순간 중년 | 맥없는 무대의 뒷방 | 일본텔레비전 | |
1961 | 아내야말로 나의 전부 | 일본화가 | 일본텔레비전 | |
1961 | 검은 나비 | 사기꾼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1 | 결정적 순간 함정 | 여자에게 복수하는 남자 | 일본텔레비전 | |
1961 | 분산업 아츠조 | NHK | ||
1961 | 낙성 | 최고 가로 | 후지텔레비전 | |
1961 | 동급생 교환 | 재계 인사 모리가와 | 일본텔레비전 | |
1961 | 여경 | 돈 후안 같은 남자 | 후지텔레비전 | |
1961 | 이혼학 입문 | 제약회사 연구소장 | 후지텔레비전 | |
1961 | 보름달 | 소방대장의 아들 토모키치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1 | 어떤 맑은 날에 | 인기 없는 독신 화가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1 | 아사코의 아이들 | 후지텔레비전 | ||
1962 | 젊은 촉매 | 일본텔레비전 | ||
1962 | 차가운 차 | 대학교수 | TBS | |
1962 | 지문을 쫓는 남자 | 지문계 주임 카시와기 | NHK | |
1962 | 인생의 사계절 | 일본텔레비전 | ||
금목서 / 붉은 우산 | ||||
1962 | 여정 | 양로원의 노인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2 | 초봄 | 음악가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2 | 밤은 바다다 내가 사랑한 마녀 | 나 | 일본텔레비전 | |
1962 | 다카세부네 | 죄인의 호송 역할 | 일본텔레비전 | |
1962 | 훌륭한 여자 | 노인 | 후지텔레비전 | |
1962 | 여자의 행복 벼락 | 일본텔레비전 | ||
1962 | 여배우의 자리 | 노영화 감독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2 | 억새 | 재봉사 코우조 | NHK | |
1962 | 저 섬은 이미 없다 | 후지텔레비전 | ||
1962 | 남자는 필요없다 | 가짜 문학가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3 | 연애 편지 | 의사 | 후지텔레비전 | |
1963 | 남편을 성공시키는 법 | 정년퇴직을 앞둔 평사원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3 | 시집갈 때까지 말하지 못한 한마디 | 후지텔레비전 | ||
1963 | 환상의 탱고 | 댄서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3 | 부부백경 - 침입자 | 일본텔레비전 | ||
1963 | 남자 싫어 | 일본텔레비전 | ||
1963 | 판결 자상한 아내의 잠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3 | 복숭아 익는 무렵 | 일본텔레비전 | ||
1963 | 산장 | 회사 임원 | 간사이텔레비전 | |
1963 | 악마 | 노인 | NHK | |
1963 | 나의 유령씨 | 유령 | 후지텔레비전 | |
1963 | 뜬 배 | 훈타쇼 | 일본텔레비전 | |
1963 | 겨울 | 요정 주인 | NHK | |
1964 | 바다의 무지개 | NHK | ||
1964 | 파리에서 죽다 | 후지텔레비전 | ||
1964 | 독립 소방대 | 일본텔레비전 | ||
1964 | 샘은 마르지 않는다 | NHK | ||
1964 | 무병건강 | 일본텔레비전 | ||
1964 | 첫사랑 이야기 | 목재 공장 사장 | 후지텔레비전 | |
1964 | 다리의 여자 | 화가 | 후지텔레비전 | 신파에서 상연된 연극의 드라마화 |
1964 | 유시마의 흰 매화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4 | 막말 | TBS | ||
1964 | 젊은 시절의 노부나가 | 히라테 마사히데 | 후지텔레비전 | |
1964 | 악명 높은 여자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5 | 사시미와 비프스테이크 | 후지텔레비전 | ||
1965 | 향화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5 | 아빠의 비밀 | 일본텔레비전 | ||
1965 | 쇼세키 산방 | NHK | ||
1965 | 생명 있는 날을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6 | 노란 수선화 | 간사이텔레비전 | ||
1966 | 연필의 집 | 술집 주인 | NHK | |
1966 | 만춘 | 후지텔레비전 | ||
1966 | 곤스케 | NHK | ||
1966 | 아아! 부부 허허실실 | 여행하는 배우 | TBS | |
1966 | 정년퇴직 | 정년퇴직을 앞둔 회사원 | NHK | |
1966 | 사랑스럽구나 | 총무부장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6-1967 | 요코보리 강 | 출판사 사장 | NHK | |
1966 | 인정 야화 마음의 등불 | 우산 장수 낭인 | 후지텔레비전 | |
1967 | 봄의 모란 눈 | NHK | ||
1967 | 진지하게 하자 더 서비스맨 | 부장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7 | 은혼식 | 양자의 아버지 | NHK | |
1967 | 와카사의 여자 | 후지텔레비전 | ||
1967 | 결혼하지 않겠습니다 아침의 침대 | 후지텔레비전 | ||
1967 | 매미, 귀뚜라미, 사마귀 | NHK | ||
1967 | 사쿠라 조개 | NHK | ||
1968-1972 | 대하드라마 | NHK | ||
료마가 간다 (1968년) - 요시다 도요 역 | ||||
하늘과 땅과 (1969년) - 연가시 코우사이 역 | ||||
전나무는 남았다 (1970년) - 다테 아키 역 | ||||
1972 | 신·헤이케 이야기 | 후지와라노 다다자네 | NHK | 대하드라마 |
1968 | 우엉과 정어리 | NHK | ||
1968 | 겨울의 토비 | NHK | ||
1968 | 레몬의 눈물 | 대학교수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8 | 어떤 여자의 사계절 | 무능한 남편 | NHK | |
1968 | 오몬의 사랑 | 노화가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8 | 오긴 님 | 도요토미 히데요시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9 | 텔레비전'69 | 마이니치 방송 | ||
1969 | 헤어져 살 때도 | NHK | ||
1969 | 구형의 황야 | 전쟁으로 조국을 잃은 남자 | NHK | |
1970 | 저어새의 무덤 | NHK | ||
1970 | 블록의 성 | 후지텔레비전 | ||
1970 | 둘만 남아서 | 후지텔레비전 | ||
1971 | 겨울 동백 | 아버지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71-1972 | 시간이에요 제2시리즈 | TBS | ||
1972 | 안개의 깃발 | 변호사 | NHK | |
1972 | 붉은 수염 제2화 「미치광이 여자」 | 에치고야 토라키치 | NHK | |
1972 | 빙벽 | NHK | ||
1972 | 햄버그와 게이샤 | 일본텔레비전 | ||
1972 | 랫코의 킨상[9] | 마을의 상담역 | NHK | |
1972 | 일요일에는 장미를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73 | 꽃은 신부 | 허업가 | 일본텔레비전 | 연속 드라마에 특별출연 |
1972 | 꽃자리 | 일본교육텔레비전 | 원작: 야마모토 슈고로 | |
1973 | 사랑은 대길 | 신주 | 일본텔레비전 | 병으로 쓰러진 탓에 중도에 나카무라 신로로 교체 |
1973년 9월 8일 | 코차반바행 | 정년퇴직한 회사원 | NHK | 신극 시대의 동료와 공연한 유작 |
{| class="wikitable sortable"
|+ 연극
|-
! 연도
! 제목
! 배역
! 공연 장소
! 비고
|-
| 1930년 6월-7월
| 용감한 병사 슈베이크의 모험
| 병원 환자, 죄수, 병사 역
| 이치무라자(市村座)
| 연출: 키타무라 키하치(北村喜八)[4]
|-
| 1931년 2월
| 아메데와 구두닦이대 위의 여러분 / 장 드 라 뤼느
| 세 번째 손님 역 / 리샤아 역
| 진주강당(仁寿講堂)
| 작: 쥘 로맹(Jules Romains), 번역: 이와타 토요오(岩田豊雄), 연출: 카네스기 준로(金杉惇郎), 공연: 카네스기 준로(金杉惇郎) / 작: 마르셀 아샤르(マルセル・アシャール), 번역·연출: 나가오카 테루코(長岡輝子), 공연: 구치구케 케이키치(溝口恵吉)
|-
| 1931년 10월
|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눈동자
| 나폴레옹 역
| 진주강당
| 작: 장 살망(Jean Sarment), 번역: 나가오카 테루코(長岡輝子), 연출: 카네스기 준로(金杉惇郎), 공연: 오카 테루코(岡照子) ※ 삼각관계 연애극, 모리의 연기가 주목받았다.
|-
| 1932년 2월
| 아메데와 구두닦이대 위의 여러분 / 영어 선생님
| 아메데 역 / 파스칼 역
| 진주강당
| 작: 쥘 로맹(Jules Romains), 연출: 마쓰야마 타카시(松山崇), 공연: 에룡 신유(江竜信雄) / 작: 레지 지니에(Régis Gignies), 번역: 나가오카 테루코(長岡輝子), 연출: 카네스기 준로(金杉惇郎), 공연: 카네스기 준로(金杉惇郎)
|-
| 1932년 3월
| 거지극(삼문 오페라)
| 타이키치, 폰스케, 라졸 역
| 도쿄 신카부키자(東京新歌舞伎座)
| 작: 베르톨트 브레히트(ブレヒト), 연출: 히지카타 요시(土方与志), 공연: 센다 코야(千田是也) ※ 카네스기 준로, 나가오카 테루코와 함께 첫날에만 출연
|-
| 1932년 4월
| 연애 주식회사 항로
| 장 자크 역
| 진주강당
| 작: 클로드 앙드레 부셰(Claude André Bouchet), 번역: 나가오카 테루코(長岡輝子), 연출: 카네스기 준로(金杉惇郎), 공연: 카네스기 준로(金杉惇郎)
|-
| 1932년 6월
| 연극은 주문 제작
| 샹돌르 트라이 역
| 진주강당
| 작: 페렌츠 몰나르(フェレンツ・モルナール), 번역: 스즈키 젠타로(鈴木善太郎), 연출: 카네스기 준로(金杉惇郎), 공연: 키타자와 푄(北沢彪) ※ 노작가 역, 모리 마사유키의 테아트르 코메디 시대 대표작
|-
| 1938년 1월
| 종이 풍선
| 남편 역
| 칸다 니시키바시각(神田錦橋閣)
| 작: 키시다 구니시(岸田國士), 공연: 타케가와 미유키(竹河みゆき)
|-
| 1938년 3월
| 훌륭한 여자 / 노크
| 히로 역 / 광목가, 두 번째 마을의 젊은이 역
| 비행관(飛行館)
| 작: 모리모토 카오루(森本薫), 연출: 츠지 큐이치(辻久一), 공연: 호리코시 세츠코(堀越節子) / 작: 쥘 로맹(ジュウル・ロマン), 번역: 이와타 토요오(岩田豊雄), 연출: 아베 마사오(阿部正雄), 공연: 나카 미도리(仲みどり)
|-
| 1938년 6월
| 아버지와 아들 / 어족
| 타로 역 / 고후 역
| 비행관
| 작: 폴 제랄디(Paul Geraldy), 각색: 타츠노 타카시(辰野隆), 연출: 이와타 토요오(岩田豊雄), 공연: 도쿠가와 유메고에(徳川夢声) / 작: 코야마 유지(小山祐士), 연출: 키시다 구니시(岸田國士), 공연: 미츠다 켄(三津田健)
|-
| 1938년 10월
| 가는 해
| 셋째 아들 시게조 역
| 비행관
| 작·연출: 쿠보타 만타로(久保田万太郎), 공연: 도쿠가와 유메고에(徳川夢声)
|-
| 1938년 12월
| 추수령
| 아츠시의 친구 야가이 사부로 역
| 유라쿠자
| 작: 우치무라 나오야(内村直也), 연출: 키시다 구니시/아베 마사오, 공연: 도쿠가와 유메고에(徳川夢声)
|-
| 1939년 1월
| 부세
| 모리스 역
| 칸다 니시키바시각
| 작: 샤를 비드락(Charles Vildrac), 번역: 나이토 타쿠(内藤濯), 연출: 이누이 이치로(戌井市郎), 공연: 츠키노 미치요(月野道代)
|-
| 1939년 2월
| 창해정
| 마리우스 역
| 비행관
| 작: 마르셀 파뇰(マルセル・パニョル), 연출: 이와타 토요오/타나카 치카오(田中千禾夫), 공연: 미츠다 켄(三津田健)
|-
| 1939년 4월
| 절벽
| 푸유치카 역
| 칸다 니시키바시각
| 작: 하라 치요우미(原千代海), 연출: 우치무라 나오야(内村直也), 공연: 아라키 미치코(荒木道子)
|-
| 1939년 6월
| 봄·가을
| 젊은 장교 역
| 비행관
| 작: 타나카 스미에(田中澄江), 연출: 타나카 치카오(田中千禾夫), 공연: 코사카 키쿠코(小阪菊子)
|-
| 1939년 7월
| 경종
| 밥 역
| 칸다 니시키바시각
| 작: 조지 S. 카프만(George S. Kaufman), 연출: 타나카 치카오(田中千禾夫), 공연: 미야구치 세이지(宮口精二)
|-
| 1939년 9월-10월
| 태양의 아이
| 히로키 소년 역
| 비행관
| 작: 마후네 유타카(真船豊), 연출: 쿠보타 만타로(久保田万太郎), 공연: 도쿠가와 유메고에(徳川夢声)
|-
| 1939년 11월
| 낙오자의 무리
| 몽돌동 역
| 칸다 니시키바시각
| 작: 앙리 르네 르노망(Henri-René Lenormand), 번역: 키시다 구니시(岸田國士), 연출: 스가와라 타로(菅原太郎), 공연: 미야구치 세이지(宮口精二)
|-
| 1939년 12월
| 팔리는 개간지
| 요사쿠 역
| 비행관
| 작: 토치자와 후유오(栃沢冬雄), 연출: 쿠보타 만타로(久保田万太郎), 공연: 스기무라 하루코(杉村春子)
|-
| 1940년 1월
| 햄릿
| 햄릿 역
| 칸다 니시키바시각
| 작: 윌리엄 셰익스피어, 연출: 우치무라 나오야, 공연: 스기무라 하루코
|-
| 1940년 2월
| 횃불을 보내며
| 디디에 마라봉 역
4. 1. 영화
연도 | 제목 | 역할 | 감독 | 비고 |
---|---|---|---|---|
1945 | 호랑이꼬리를 밟는 사람들 | 카메이 | 구로사와 아키라 | |
1945 | 스가타 산시로 후편 | 구로사와 아키라 | ||
1950 | 라쇼몽 | 무명의 사무라이 | 구로사와 아키라 | |
1951 | 바보 | 구로사와 아키라 | ||
1951 | 무사시노의 여인 | 미조구치 겐지 | ||
1953 | 우게쯔 이야기 | 겐쥬로 | 미조구치 겐지 | |
1953 | 형제 | 이노키치 | 나루세 미키오 | |
1955 | 떠돌이 구름 | 토미오카 켄고 | 나루세 미키오 | |
1955 | 양귀비 | 현종 | 미조구치 겐지 | |
1955 | 마음 | 노부치 | 이치카와 곤 | |
1958 | 밤의 북 | 이마이 타다시 | ||
1960 | 나쁜 놈일수록 잘 잔다 | 이와부치 | 구로사와 아키라 | |
1960 | 여자가 계단을 오를 때 | 나루세 미키오 | ||
1960 | 남동생 | 이치카와 곤 | ||
1960 | 딸들, 아내들 그리고 어머니 | 나루세 미키오 | ||
1961 | 아내로서, 여자로서 | 코노 케이지로 | 나루세 미키오 | |
1963 | 무사도, 사무라이 사가 | 이마이 타다시 | ||
1963 | 태평양의 고독 | 이치카와 곤 | ||
1963 | 빛나는 바다 | 나카히라 코스케 | ||
1968 | 야마모토 이소로쿠 | 코노에 후미마로 | 마루야마 세이지 | [1] |
1970 | 자토이치는 불축제에 간다 | 암흑대왕 | 미스미 켄지 |
4. 2. 텔레비전 드라마
연도 | 제목 | 역할 | 방송사 | 비고 |
---|---|---|---|---|
1956 | 승리자 | 음악가를 지망했던 은행원 | KR텔레비전 | 예술제 장려상 수상작 |
1958 | 고향의 소리 | NHK | ||
1958-1960 | 부부백경 | 일본텔레비전 | ||
32년 만의 재회 (1958년) | ||||
어렴풋한 모습 (1959년) | ||||
순종적인 남편 (1959년) | ||||
1959 | 바꿔치기 부부 | 일본텔레비전 | ||
1960 | 태평한 부부 | 일본텔레비전 | ||
1958 | 고드름 | 일본텔레비전 | ||
1958 | 어머니 - 니시긴자의 맘 | KR텔레비전 | ||
1958-1967 | 도시바 일요극장 | |||
편지 (1958년, 주부일본방송) | ||||
맘모스 타워 (1958년, KR텔레비전) - 영화사 제작본부장 역 | ||||
어린 장미 (1961년, TBS) - 프랑스 귀국파 바텐더 역 | ||||
스미다가와 (1962년, TBS) - 아사쿠사의 옷감 도매상 주인 역 | ||||
1962 | 어렴풋한 모습의 여자 | 고케닌 모리 요헤이 | TBS | |
1967 | 노란 우산 | TBS | ||
1959 | 시타마치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59 | 가면 | 후지텔레비전 | ||
1959 | 푸른 옷의 사람 | NET | ||
1959 | 가을 | 일본텔레비전 | ||
1959 | 연애 예절 | 일본텔레비전 | ||
무대 장치 / 유혹 | ||||
1959 | 청춘 리포트 선물 | 일본텔레비전 | ||
1959 | 붉은 구름 | 일본텔레비전 | ||
1959 | H·D 어느 호텔 직원 | NHK | ||
1959 | 도쿄의 유령 | 일본텔레비전 | ||
1959 | 귀신의 눈물 | 일본텔레비전 | ||
1959 | 현대 행복 독본 사랑에 관하여 | 일본텔레비전 | ||
1959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시리즈 제4회 「가을」 | 일본텔레비전 | ||
1959 | 집행유예 | 후지텔레비전 | ||
1959 | 병살 (더블 플레이)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59 | 집념 | 일본텔레비전 | ||
1959 | 코조·코토시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0 | 연인의 매력 | 일본텔레비전 | ||
1960 | 열대어 | 회사원 | 일본텔레비전 | |
1960 | 오빠와 여동생 | 이노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0 | 검은 나뭇잎 | 후지텔레비전 | ||
1960 | 겨울의 신사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0 | 말레이에서 죽다 | 해군 대좌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0 | 내가 선택한 사람 | 기요미야 약혼 취재를 맡은 데스크 | 일본텔레비전 | |
1960 | 외로운 사람 | 단치에 사는 회사원 | 일본텔레비전 | |
1960 | 목숨 짧다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0 | 각광 | 후지텔레비전 | ||
1960 | 아름다운 나날 | 의사 | 일본텔레비전 | |
1960 | 돌고 도는 인생 인연 | 메이지 초기의 여행 상인 | 일본텔레비전 | |
1960 | 붉은 달 | 후지텔레비전 | ||
1960 | 비 온 뒤에 또 비 | NHK | ||
1960 | 부부백경 - 집의 황후님 | 미술학교 출신 장인 | 일본텔레비전 | |
1960 | 국화의 맹세 | 일본텔레비전 | ||
1960 | 여자의 사계 - 여신 | NET | ||
1960 | 아버지 | 하기와라 사쿠타로 | NHK | |
1960 | 실수로 시작된 | 잘나가는 디자이너 | 일본텔레비전 | |
1960 | 많은 아내 | 일곱 명의 아내를 둔 텔레비전 배우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0 | 명승부 이야기 황금술의 패자 | 일본텔레비전 | ||
1960 | 상처 | 경리부 차장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1 | 부부백경 - 굳건한 부부 | 일본텔레비전 | ||
1961 | 웨딩 마치 | 일본텔레비전 | ||
1961 | 거짓말 | 요리사 가페이지 | 일본텔레비전 | |
1961 | 결정적 순간 중년 | 맥없는 무대의 뒷방 | 일본텔레비전 | |
1961 | 아내야말로 나의 전부 | 일본화가 | 일본텔레비전 | |
1961 | 검은 나비 | 사기꾼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1 | 결정적 순간 함정 | 여자에게 복수하는 남자 | 일본텔레비전 | |
1961 | 분산업 아츠조 | NHK | ||
1961 | 낙성 | 최고 가로 | 후지텔레비전 | |
1961 | 동급생 교환 | 재계 인사 모리가와 | 일본텔레비전 | |
1961 | 여경 | 돈 후안 같은 남자 | 후지텔레비전 | |
1961 | 이혼학 입문 | 제약회사 연구소장 | 후지텔레비전 | |
1961 | 보름달 | 소방대장의 아들 토모키치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1 | 어떤 맑은 날에 | 인기 없는 독신 화가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1 | 아사코의 아이들 | 후지텔레비전 | ||
1962 | 젊은 촉매 | 일본텔레비전 | ||
1962 | 차가운 차 | 대학교수 | TBS | |
1962 | 지문을 쫓는 남자 | 지문계 주임 카시와기 | NHK | |
1962 | 인생의 사계절 | 일본텔레비전 | ||
금목서 / 붉은 우산 | ||||
1962 | 여정 | 양로원의 노인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2 | 초봄 | 음악가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2 | 밤은 바다다 내가 사랑한 마녀 | 나 | 일본텔레비전 | |
1962 | 다카세부네 | 죄인의 호송 역할 | 일본텔레비전 | |
1962 | 훌륭한 여자 | 노인 | 후지텔레비전 | |
1962 | 여자의 행복 벼락 | 일본텔레비전 | ||
1962 | 여배우의 자리 | 노영화 감독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2 | 억새 | 재봉사 코우조 | NHK | |
1962 | 저 섬은 이미 없다 | 후지텔레비전 | ||
1962 | 남자는 필요없다 | 가짜 문학가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3 | 연애 편지 | 의사 | 후지텔레비전 | |
1963 | 남편을 성공시키는 법 | 정년퇴직을 앞둔 평사원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3 | 시집갈 때까지 말하지 못한 한마디 | 후지텔레비전 | ||
1963 | 환상의 탱고 | 댄서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3 | 부부백경 - 침입자 | 일본텔레비전 | ||
1963 | 남자 싫어 | 일본텔레비전 | ||
1963 | 판결 자상한 아내의 잠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3 | 복숭아 익는 무렵 | 일본텔레비전 | ||
1963 | 산장 | 회사 임원 | 간사이텔레비전 | |
1963 | 악마 | 노인 | NHK | |
1963 | 나의 유령씨 | 유령 | 후지텔레비전 | |
1963 | 뜬 배 | 훈타쇼 | 일본텔레비전 | |
1963 | 겨울 | 요정 주인 | NHK | |
1964 | 바다의 무지개 | NHK | ||
1964 | 파리에서 죽다 | 후지텔레비전 | ||
1964 | 독립 소방대 | 일본텔레비전 | ||
1964 | 샘은 마르지 않는다 | NHK | ||
1964 | 무병건강 | 일본텔레비전 | ||
1964 | 첫사랑 이야기 | 목재 공장 사장 | 후지텔레비전 | |
1964 | 다리의 여자 | 화가 | 후지텔레비전 | 신파에서 상연된 연극의 드라마화 |
1964 | 유시마의 흰 매화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4 | 막말 | TBS | ||
1964 | 젊은 시절의 노부나가 | 히라테 마사히데 | 후지텔레비전 | |
1964 | 악명 높은 여자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5 | 사시미와 비프스테이크 | 후지텔레비전 | ||
1965 | 향화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5 | 아빠의 비밀 | 일본텔레비전 | ||
1965 | 쇼세키 산방 | NHK | ||
1965 | 생명 있는 날을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6 | 노란 수선화 | 간사이텔레비전 | ||
1966 | 연필의 집 | 술집 주인 | NHK | |
1966 | 만춘 | 후지텔레비전 | ||
1966 | 곤스케 | NHK | ||
1966 | 아아! 부부 허허실실 | 여행하는 배우 | TBS | |
1966 | 정년퇴직 | 정년퇴직을 앞둔 회사원 | NHK | |
1966 | 사랑스럽구나 | 총무부장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6-1967 | 요코보리 강 | 출판사 사장 | NHK | |
1966 | 인정 야화 마음의 등불 | 우산 장수 낭인 | 후지텔레비전 | |
1967 | 봄의 모란 눈 | NHK | ||
1967 | 진지하게 하자 더 서비스맨 | 부장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7 | 은혼식 | 양자의 아버지 | NHK | |
1967 | 와카사의 여자 | 후지텔레비전 | ||
1967 | 결혼하지 않겠습니다 아침의 침대 | 후지텔레비전 | ||
1967 | 매미, 귀뚜라미, 사마귀 | NHK | ||
1967 | 사쿠라 조개 | NHK | ||
1968-1972 | 대하드라마 | NHK | ||
료마가 간다 (1968년) - 요시다 도요 역 | ||||
하늘과 땅과 (1969년) - 연가시 코우사이 역 | ||||
전나무는 남았다 (1970년) - 다테 아키 역 | ||||
1972 | 신·헤이케 이야기 | 후지와라노 다다자네 | NHK | 대하드라마 |
1968 | 우엉과 정어리 | NHK | ||
1968 | 겨울의 토비 | NHK | ||
1968 | 레몬의 눈물 | 대학교수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8 | 어떤 여자의 사계절 | 무능한 남편 | NHK | |
1968 | 오몬의 사랑 | 노화가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8 | 오긴 님 | 도요토미 히데요시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69 | 텔레비전'69 | 마이니치 방송 | ||
1969 | 헤어져 살 때도 | NHK | ||
1969 | 구형의 황야 | 전쟁으로 조국을 잃은 남자 | NHK | |
1970 | 저어새의 무덤 | NHK | ||
1970 | 블록의 성 | 후지텔레비전 | ||
1970 | 둘만 남아서 | 후지텔레비전 | ||
1971 | 겨울 동백 | 아버지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71-1972 | 시간이에요 제2시리즈 | TBS | ||
1972 | 안개의 깃발 | 변호사 | NHK | |
1972 | 붉은 수염 제2화 「미치광이 여자」 | 에치고야 토라키치 | NHK | |
1972 | 빙벽 | NHK | ||
1972 | 햄버그와 게이샤 | 일본텔레비전 | ||
1972 | 랫코의 킨상[9] | 마을의 상담역 | NHK | |
1972 | 일요일에는 장미를 | 일본교육텔레비전 | ||
1973 | 꽃은 신부 | 허업가 | 일본텔레비전 | 연속 드라마에 특별출연 |
1972 | 꽃자리 | 일본교육텔레비전 | 원작: 야마모토 슈고로 | |
1973 | 사랑은 대길 | 신주 | 일본텔레비전 | 병으로 쓰러진 탓에 중도에 나카무라 신로로 교체 |
1973년 9월 8일 | 코차반바행 | 정년퇴직한 회사원 | NHK | 신극 시대의 동료와 공연한 유작 |
4. 3. 연극
연도 | 제목 | 배역 | 공연 장소 | 비고 |
---|---|---|---|---|
1930년 6월-7월 | 용감한 병사 슈베이크의 모험 | 병원 환자, 죄수, 병사 역 | 이치무라자(市村座) | 연출: 키타무라 키하치(北村喜八)[4] |
1931년 2월 | 아메데와 구두닦이대 위의 여러분 / 장 드 라 뤼느 | 세 번째 손님 역 / 리샤아 역 | 진주강당(仁寿講堂) | 작: 쥘 로맹(Jules Romains), 번역: 이와타 토요오(岩田豊雄), 연출: 카네스기 준로(金杉惇郎), 공연: 카네스기 준로(金杉惇郎) / 작: 마르셀 아샤르(マルセル・アシャール), 번역·연출: 나가오카 테루코(長岡輝子), 공연: 구치구케 케이키치(溝口恵吉) |
1931년 10월 |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눈동자 | 나폴레옹 역 | 진주강당 | 작: 장 살망(Jean Sarment), 번역: 나가오카 테루코(長岡輝子), 연출: 카네스기 준로(金杉惇郎), 공연: 오카 테루코(岡照子) ※ 삼각관계 연애극, 모리의 연기가 주목받았다. |
1932년 2월 | 아메데와 구두닦이대 위의 여러분 / 영어 선생님 | 아메데 역 / 파스칼 역 | 진주강당 | 작: 쥘 로맹(Jules Romains), 연출: 마쓰야마 타카시(松山崇), 공연: 에룡 신유(江竜信雄) / 작: 레지 지니에(Régis Gignies), 번역: 나가오카 테루코(長岡輝子), 연출: 카네스기 준로(金杉惇郎), 공연: 카네스기 준로(金杉惇郎) |
1932년 3월 | 거지극(삼문 오페라) | 타이키치, 폰스케, 라졸 역 | 도쿄 신카부키자(東京新歌舞伎座) | 작: 베르톨트 브레히트(ブレヒト), 연출: 히지카타 요시(土方与志), 공연: 센다 코야(千田是也) ※ 카네스기 준로, 나가오카 테루코와 함께 첫날에만 출연 |
1932년 4월 | 연애 주식회사 항로 | 장 자크 역 | 진주강당 | 작: 클로드 앙드레 부셰(Claude André Bouchet), 번역: 나가오카 테루코(長岡輝子), 연출: 카네스기 준로(金杉惇郎), 공연: 카네스기 준로(金杉惇郎) |
1932년 6월 | 연극은 주문 제작 | 샹돌르 트라이 역 | 진주강당 | 작: 페렌츠 몰나르(フェレンツ・モルナール), 번역: 스즈키 젠타로(鈴木善太郎), 연출: 카네스기 준로(金杉惇郎), 공연: 키타자와 푄(北沢彪) ※ 노작가 역, 모리 마사유키의 테아트르 코메디 시대 대표작 |
1938년 1월 | 종이 풍선 | 남편 역 | 칸다 니시키바시각(神田錦橋閣) | 작: 키시다 구니시(岸田國士), 공연: 타케가와 미유키(竹河みゆき) |
1938년 3월 | 훌륭한 여자 / 노크 | 히로 역 / 광목가, 두 번째 마을의 젊은이 역 | 비행관(飛行館) | 작: 모리모토 카오루(森本薫), 연출: 츠지 큐이치(辻久一), 공연: 호리코시 세츠코(堀越節子) / 작: 쥘 로맹(ジュウル・ロマン), 번역: 이와타 토요오(岩田豊雄), 연출: 아베 마사오(阿部正雄), 공연: 나카 미도리(仲みどり) |
1938년 6월 | 아버지와 아들 / 어족 | 타로 역 / 고후 역 | 비행관 | 작: 폴 제랄디(Paul Geraldy), 각색: 타츠노 타카시(辰野隆), 연출: 이와타 토요오(岩田豊雄), 공연: 도쿠가와 유메고에(徳川夢声) / 작: 코야마 유지(小山祐士), 연출: 키시다 구니시(岸田國士), 공연: 미츠다 켄(三津田健) |
1938년 10월 | 가는 해 | 셋째 아들 시게조 역 | 비행관 | 작·연출: 쿠보타 만타로(久保田万太郎), 공연: 도쿠가와 유메고에(徳川夢声) |
1938년 12월 | 추수령 | 아츠시의 친구 야가이 사부로 역 | 유라쿠자 | 작: 우치무라 나오야(内村直也), 연출: 키시다 구니시/아베 마사오, 공연: 도쿠가와 유메고에(徳川夢声) |
1939년 1월 | 부세 | 모리스 역 | 칸다 니시키바시각 | 작: 샤를 비드락(Charles Vildrac), 번역: 나이토 타쿠(内藤濯), 연출: 이누이 이치로(戌井市郎), 공연: 츠키노 미치요(月野道代) |
1939년 2월 | 창해정 | 마리우스 역 | 비행관 | 작: 마르셀 파뇰(マルセル・パニョル), 연출: 이와타 토요오/타나카 치카오(田中千禾夫), 공연: 미츠다 켄(三津田健) |
1939년 4월 | 절벽 | 푸유치카 역 | 칸다 니시키바시각 | 작: 하라 치요우미(原千代海), 연출: 우치무라 나오야(内村直也), 공연: 아라키 미치코(荒木道子) |
1939년 6월 | 봄·가을 | 젊은 장교 역 | 비행관 | 작: 타나카 스미에(田中澄江), 연출: 타나카 치카오(田中千禾夫), 공연: 코사카 키쿠코(小阪菊子) |
1939년 7월 | 경종 | 밥 역 | 칸다 니시키바시각 | 작: 조지 S. 카프만(George S. Kaufman), 연출: 타나카 치카오(田中千禾夫), 공연: 미야구치 세이지(宮口精二) |
1939년 9월-10월 | 태양의 아이 | 히로키 소년 역 | 비행관 | 작: 마후네 유타카(真船豊), 연출: 쿠보타 만타로(久保田万太郎), 공연: 도쿠가와 유메고에(徳川夢声) |
1939년 11월 | 낙오자의 무리 | 몽돌동 역 | 칸다 니시키바시각 | 작: 앙리 르네 르노망(Henri-René Lenormand), 번역: 키시다 구니시(岸田國士), 연출: 스가와라 타로(菅原太郎), 공연: 미야구치 세이지(宮口精二) |
1939년 12월 | 팔리는 개간지 | 요사쿠 역 | 비행관 | 작: 토치자와 후유오(栃沢冬雄), 연출: 쿠보타 만타로(久保田万太郎), 공연: 스기무라 하루코(杉村春子) |
1940년 1월 | 햄릿 | 햄릿 역 | 칸다 니시키바시각 | 작: 윌리엄 셰익스피어, 연출: 우치무라 나오야, 공연: 스기무라 하루코 |
1940년 2월 | 횃불을 보내며 | 디디에 마라봉 역 | 비행관 | 작: 폴 엘뷔유, 번역: 키시다 구니시, 연출: 타나카 치카오, 공연: 타케가와 토요코 |
1940년 4월 | 톱니바퀴 | 타키모토 마사오 역 | 비행관 | 작: 우치무라 나오야, 연출: 키시다 구니시, 공연: 미츠다 켄 |
1940년 6월-7월 | 야생오리 | 사진가 야르마 에크달 역 | 비행관 | 작: 헨리크 입센, 번역: 모리타 소헤이, 연출: 쿠보타 만타로, 공연: 스기무라 하루코 |
1940년 9월 | 폐원 | 마츠우라 야스시 역 | 비행관 | 작: 마후네 유타카, 연출: 쿠보타 만타로, 공연: 나카무라 신로, 나가오카 테루코 |
1940년 12월 | 패니 | 마리우스 역 | 국민신극장 | 작: 마르셀 파뇰, 번역: 에가토 토시오, 연출: 사토미 아키, 공연: 미츠다 켄 |
1941년 1월 | 칠복신 / 파스퇴르 | 에비스 역 / 학생, 제자 역 | 국민신극장, 오사카 아사히 회관 (2월) | 작: 무샤코지 산도, 연출: 이와타 토요오, 공연: 나카무라 신로 / 작: 사샤 기트리, 번역: 하야시 코이치, 연출: 쿠보타 만타로, 공연: 도쿠가와 유메고에 |
1941년 3월 | 결혼 청혼 | 추부코프 역 | 국민신극장 | 작: 안톤 체호프, 번역: 요네카와 마사오, 연출: 나가오카 테루코, 공연: 카가하라 나츠코 |
1941년 4월-5월 | 진부인 | 진칭원 역 | 국민신극장 | 작: 쇼지 소이치, 각색: 모리모토 카오루/타나카 스미에, 연출: 쿠보타 만타로, 공연: 미츠다 켄, 히가시야마 치에코 |
1941년 6월 | 패니 | 마리우스 역 (블랑 씨 겸역) | 오사카 아사히 회관 | |
1941년 6월 | 파스퇴르 | 와세다 대학오쿠마 강당 | ||
1941년 7월 | 우리 동네 / 야타 고로 겐시치 | 신문기자 웨브 역 / 이레즈미 신사 역 | 국민신극장 | 작: 와일더, 번역: 모리모토 카오루, 연출: 나가오카 테루코, 공연: 미츠다 켄 / 작: 쿠보타 만타로, 연출: 이누이 이치로, 공연: 류오카 신 |
1941년 7월 | 소나기 | 유즈루 역 | 히비야 공회당 | 작: 키시다 구니시, 연출: 이누이 이치로, 공연: 아라키 미치코 |
1941년 8월 | 어머니 / 결혼의 청혼 | / 지주 칫푸 반스케 역 | 가와사키 마츠다 램프 공장 외 | 작: 호죠 슈지, 연출: 타나카 치카오 공연: 오노 마츠에 / 작: 안톤 체호프, 번역: 요네카와 마사오, 각색·방언: 이가야마 쇼조, 연출: 나가오카 테루코, 공연: 카가하라 나츠코 |
1941년 9월, 11월 | 우리 동네 / 모래 위에서 | 신야 역 | 국민신극장, 오사카 아사히 회관 (11월) | 작: 와일더, 번역: 모리모토 카오루 / 작·연출: 쿠보타 만타로, 공연: 도쿠가와 유메고에 |
1941년 11월 | 우리 동네 | 도쿄 상과대학 강당 | ||
1941년 12월 | 사소 병원 / 결혼의 청혼 | 츠루노 이치로 역 / 지주 칫푸 반스케 역 | 국민신극장 | 작: 우에쿠사 케이노스케, 연출: 나가오카 테루코, 공연: 미츠다 켄 / 작: 안톤 체호프, 연출: 이누이 이치로, 공연: 미야구치 세이지 |
1942년 3월 | 황진 | 진자문 역 | 국민신극장 | 작: 우에다 히로시, 각색: 이가야마 쇼조, 보정: 모리모토 카오루, 연출: 타나카 치카오, 공연: 미츠다 켄 |
1942년 4월 | 요람의 노래 / 지팡이 | 의사 역 / 겐잔 로시 역 | 국민신극장 | 작: 마르티네스 시에라, 번역: 나가타 히로사다, 연출: 나가오카 테루코, 공연: 우메카 후미코 / 작: 이이자와 타다시, 나가오카 테루코, 연출: 이누이 이치로, 공연: 오노 마츠에 |
1942년 5월 | 토시마 마츠고로전 | 요시오카 대위, 쿠마키치 역 | 국민신극장 | 작: 이와시타 슌사쿠, 각색: 모리모토 카오루, 연출: 사토미 아키, 공연: 마루야마 사다오 |
1942년 10월 | 메추라기 | 도야마 다이스케 역 | 국민신극장, 오사카 아사히 회관 | 작: 마후네 유타카, 연출: 쿠보타 만타로, 공연: 스기무라 하루코 |
1942년 12월 | 여자뿐인 마을 / 마을의 소리 | 아돌포 역 / 후지키치 역 | 국민신극장 | 작: 세라핀 알바레스 킨테로/호아킨 알바레스 킨테로, 번역: 스가와라 타쿠, 연출: 나가오카 테루코, 공연: 아라키 미치코 / 작·연출: 쿠보타 만타로, 공연: 히가시야마 치에코 |
1943년 1월 | 병원선 | 하라다 상등병 역 | 국민신극장 | 작: 오카다 요시코, 연출: 스즈키 에이스케, 공연: 미야구치 세이지 |
1943년 1월 | 소나기 / 결혼의 청혼 | 유즈루 역 / 지주 칫푸 반스케 역 | 우시고메 제1육군병원 | 공연: 스기무라 하루코 / 연출: 나가오카 테루코, 공연: 카가하라 나츠코 |
1943년 2월 | 베이징의 유령 | 병사의 유령 슌지 역 | 국민신극장 | 작: 이이자와 타다시, 연출: 나가오카 테루코, 공연: 미츠다 켄 |
1943년 2월-3월 | 결혼의 청혼 / 소나기 | 지주 칫푸 반스케 역 / 유즈루 역 | 아키타 육군병원(2월), 모리오카 육군병원(3월) | 연출: 이누이 이치로 / 공연: 스기무라 하루코 |
1943년 2월-3월 | 오토요 씨 | 켄타로 역 | 아키타 쇼치쿠 극장(2월), 노시로 고등여학교 강당(3월) | 작: 와타나베 키에코, 각색: 이누이 이치로, 연출: 타나카 치카오, 공연: 스기무라 하루코 |
1943년 3월 | 메추라기 | 도야마 다이스케 역 | 아키타 타카스 국민학교 외 | 공연: 나가오카 테루코 |
1943년 4월 | 근황 도달 | 마쓰마에 번 집정 라키자키 아키 역 | 국민신극장, 오사카 아사히 회관 | 작: 니와 후미오, 각색: 모리모토 카오루, 연출: 이와타 토요오, 공연: 미츠다 켄 |
1943년 6월 | 종신 연금 / 수의 마을 | 베르뒤로오 씨 역 / 모리 시게조 역 | 국민신극장 | 작: 가브리엘 델빌리에, 번역: 하라 치요우미, 연출: 타나카 치카오, 공연: 간분다이 / 작: 타구치 타케오, 연출: 쿠보타 만타로, 공연: 미츠다 켄 |
1943년 10월 | 전원 | 와타세 쿠조 역 | 국민신극장, 오사카 아사히 회관 | 작·연출: 마후네 유타카, 공연: 스기무라 하루코 |
1943년 12월 | 부처 / 태평양의 폭풍 | 소헤이 역 / | 칸다 니시키바시각 | 작: 토치자와 후유오, 연출: 이누이 이치로, 공연: 카가하라 나츠코 / 작: 야기 류이치로, 연출: 타나카 치카오, 공연: 나카무라 신로 |
1944년 1월-2월 | 태평양의 폭풍 | 중국·시코쿠·큐슈 지방 | ||
1944년 5월 | 격랑 | 키타자토 시바사부로 역 | 국민신극장 | 작: 모리모토 카오루, 연출: 쿠보타 만타로, 공연: 스기무라 하루코 ※ 모리 마사유키의 문학좌 시대 대표작, 세균학자 키타자토 시바사부로를 연기하여 절찬을 받았다. |
1944년 10월-11월 | 조수합전 | 붕크 박사의 아들 죰브, 쥐 농부 오리자 역 | 국민신극장 | 작: 이이자와 타다시, 연출: 이누이 이치로, 공연: 나카무라 신로 |
1944년 11월 | 손님 / 봉도시 | 민조 역 / 차남 테츠지 역 | 국립상업대학원 강당 | 작: 샤를르 빌드락, 각색: 다쓰노 타카시, 공연: 스기무라 하루코 / 작: 가메야 하라토쿠, 연출: 이누이 이치로, 공연: 미츠다 켄 |
1944년 11월 | 격랑 | 키타자토 시바사부로 역 | 오사카 아사히 회관 | |
1945년 12월 | 벚꽃동산 | 야샤 역 | 유락좌 | 작: 안톤 체호프(Anton Čechov), 번역: 요네카와 마사오(米川正夫), 연출: 아오야마 스기사쿠(青山杉作), 공연: 히가시야마 치에코(東山千栄子)[5] |
1946년 3월 | 인형의 집 | 랭크 역 | 유락좌 | 작: 헨리크 입센(Henrik Ibsen), 번역: 시마무라 호우겟(島村抱月), 연출: 히지카타 요시(土方与志), 공연: 타키자와 오사무(滝沢修) |
1946년 6월-7월 | 한여름밤의 꿈 | 시샤스 역 | 작: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 번역: 츠보우치 쇼요(坪内逍遥), 연출: 히지카타 요시(土方与志), 공연: 모모야마 유미카(桃園ゆみか)/후지와라 가극단(藤原歌劇団) | |
1947년 3월 | 사과나무 일기 | 정의 역 | 제국극장 | 작·연출: 쿠보 사카에(久保栄), 공연: 타키자와 오사무(滝沢修)/아쿠타가와 히로시(芥川比呂志) |
1947년 4월 | 켄터키 홈 | 연적 로빈슨 역 | 제국극장 | 작: 야스미 토시오(八住利雄), 연출: 시라이 테츠조(白井鉄造), 공연: 야마구치 스크코(山口淑子) |
1947년 6월-7월 | 부활 | 네플류도프 역 | 제국극장 | 작: 레프 톨스토이(Lev Tolstoj), 번역: 히지카타 케이타(土方敬太), 총지휘: 히지카타 요시(土方与志)/오카쿠라 시로(岡倉士朗), 공연: 타키자와 오사무(滝沢修) |
1948년 1월, 2월 | 파계 | 교장 역 | 유락좌, 오사카 아사히회관(2월) | 작: 시마자키 토손(島崎藤村), 각색: 무라야마 토모요시(村山知義), 연출: 무라야마 토모요시(村山知義)/오카쿠라 시로(岡倉士朗), 공연: 타키자와 오사무(滝沢修) |
1948년 5월, 6월 | 타쿠미와 사랑 | 훌름 역 | 제국극장, 도톤보리 각좌(6월) | 작: 프리드리히 쉴러(フリードリヒ・フォン・シラー), 연출: 오카쿠라 시로(岡倉士朗), 공연: 우노 주우키치(宇野重吉) |
1949년 4월-5월 | 산맥 | 하라야마 사쿠타 역 | 미쓰코시 극장 외 | 작: 키노시타 준지(木下順二), 연출: 오카쿠라 시로(岡倉士朗), 공연: 야마모토 야스히데(山本安英) |
1951년 9월 | 불꽃의 사람 반 고흐의 생애 | 로트렉 역 | 신바시 연예장 | 작: 미요시 준조, 연출: 오카쿠라 시로, 공연: 타키자와 오사무 ※ 프리랜서로 특별 출연 |
1956년 2월 | 두 사람만의 무도회 | 작곡가 역 | 배우좌극장 | 작: 코야마 유지, 연출: 코야마 유지/아베 히로지, 공연: 이와사키 카네코 |
1959년 7월 | 양귀비 | 고리키시 역 | 가부키좌 | 작: 오이부지로, 연출: 사토미 아키, 공연: 미즈타니 야에코 ※ 신파의 「양귀비」 재연에 맞춰, 모리가 타키자와 오사무에 이어 미즈타니 야에코의 상대역으로 초청되어 신파에 처음 출연 |
1960년 6월 | 오델로 | 이아고 역 | 산케이홀 | 작: 윌리엄 셰익스피어, 번역·연출: 후쿠다 츠네타다, 공연: 마쓰모토 고시로/신주 미치요 ※ 장르의 벽을 넘은 최초의 프로듀서 시스템 공연, 가부키의 8대째 마쓰모토 고시로와 공연. 모리의 깡패 같은 악역 연기가 찬반 양론을 불렀다. |
1961년 10월 | 13야 / 창 | 마부 고사카 로쿠노스케 역 / 작가 역 | 신바시 엔부죠 | 원작: 히구치 이치요, 각본·연출: 구보타 만타로, 공연: 하나류 쇼타로 / 원작: 노엘 코워드, 각색: 카와구치 마쓰타로, 공연: 미즈타니 야에코 ※ 하나류 쇼타로의 부탁으로 다시 신파 무대에 서서, 「13야」에서 마음을 사로잡은 하나류와의 첫 공연이 이루어졌다. |
1962년 3월 | 아들 / 부탁한다 / 락성비문·혈소기 / 와란다 오쵸 | 수하라 불린 포리 역 / 타메요시 역 / 시마무라 센키치 역 / 메리켄야 분지로 역 | 가부키좌 | 원작: 코야마우치 카오루, 연출: 구보타 만타로, 공연: 오야 시지로 / 작·연출: 사토미 켄 / 작: 마야마 세이카, 공연: 나카무라 칸사부로 / 작: 카와구치 마쓰타로, 연출: 무라야마 토모요시 |
1962년 9월 | 폭포의 흰 실 / 긴지 주변의 여자들 | 무라코시 킨야 역 / 옷감 가게 긴지 역 | 신바시 엔부죠 | 원작: 이즈미 쿄카, 각색: 타카다 타모쓰, 연출: 구보타 만타로, 공연: 하나류 쇼타로 / 작: 카와구치 마쓰타로, 연출: 이누이 이치로, 공연: 아베 요코 ※ 하나류가 연기하는 흰 실의 상대 역을 맡고, 이후 신파 세계에서 기예를 갈고 닦았다. |
1962년 11월 | 가행등 / 가나가와관 | 키타야치 역 / 카게야마 백작 역 | 신바시 엔부죠 | 원작: 이즈미 쿄카, 각색·연출: 구보타 만타로 / 작: 미시마 유키오, 연출: 이누이 이치로, 공연: 미즈타니 야에코 ※ 미즈타니 야에코의 부탁으로 신파 초연 「가나가와관」에 출연. 신파의 「가나가와관」은 문학좌 초연과 달리 작가 미시마 유키오의 요청으로 완전 상연. 모리는 암살 음모자의 그림자를 구현했다고 한다. 또한 「가행등」에서는 하나류의 주연인 키타야치를 연기했다. |
1962년 12월 | 양귀비 / 가나가와관 | 고리키시 역 / 카게야마 백작 역 | 신가부키좌 | 작: 다이부쓰지로, 연출: 사토미 켄 / 도쿄 공연과 같다. |
1963년 2월 | 불여귀 | 가와시마 타케오 역 | 신바시 엔부죠 | 원작: 도쿠토미 로카, 각색: 카와구치 마쓰타로, 연출: 사토미 켄 |
1963년 3월 | 마쓰이 스마코 | 시마무라 호우가쓰 역 | 신바시 엔부죠 | 작·연출: 카와구치 마쓰타로 |
1963년 4월 | 형제 / 우수평야 | 이노 역 / 슨 우오지로 역 | 메이지좌 | 원작: 무로 세이세이, 각색·연출: 카네코 히로후미 / 원작: 이노우에 야스시, 극화·연출: 카와구치 마쓰타로 |
1963년 5월 | 다정다한 | 대학교수 와시미 야나노스케 역 | 신바시 엔부죠 | 원작: 오자키 고요, 각색·연출: 사토미 켄, 공연: 나카무라 칸사부로 |
1963년 9월 | 등대 / 꿈의 여자 / 풍림화산 | 쿠로카와 유키치 역 / 오다베 한조 역 / 야마모토 칸스케 역 | 신바시 엔부죠 | 작: 미시마 유키오 / 작: 나가이 하후, 각색·연출: 구보타 만타로 / 원작: 이노우에 야스시, 각색: 이다 요시아키, 연출: 구보타 만타로 |
1964년 1월 | つや物語 / 금색 야차 | 타마가와 키요시 역 / 마간 이치 역 | 신바시 엔부죠 | 작: 이즈미 쿄카, 연출: 오에 료타로, 공연: 하나류 쇼타로 / 원작: 오자키 고요, 각색: 카와구치 마쓰타로, 연출: 마쓰우라 타케오, 공연: 미즈타니 야에코 |
5. 수상 경력
모리 마사유키는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과 미조구치 겐지 감독의 국제영화제 수상작(라쇼몽, 우게쓰 이야기)에서 주연을 맡았으며, 나루세 미키오 감독의 부운에서의 연기로 제1회 키네마 준보(キネマ旬報) 주연 남우상을 수상했다.
1995년 키네마 준보가 실시한 '일본 영화 올타임 베스트 10'의 '남우 부문'에서 1위에 선출되었다. 2000년에 발표된 '키네마 준보 20세기의 영화 스타・남우 편'에서 일본 남우 3위, 같은 잡지의 '독자가 선택한 20세기의 영화 스타 남우'에서는 5위를 차지했다. 2014년 발표된 '올타임 베스트 일본 영화 남우・여우'에서는 일본 남우 2위에 올랐다.[6]
참조
[1]
웹사이트
連合艦隊司令長官 山本五十六
https://eiga.com/mov[...]
2023-05-08
[2]
간행물
日本映画大鑑・映画人篇
2022-03
[3]
서적
昭和ニュース事典第7巻 昭和14年-昭和16年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94
[4]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2001-11-26
[5]
서적
八人の演劇人
早川書房
[6]
웹사이트
オールタイム・ベスト10 日本映画男優・女優
http://www.kinenote.[...]
キネマ旬報社
2014-12
[7]
간행물
婦人文庫
鎌倉文庫
1949-02
[8]
간행물
文芸往来
鎌倉文庫
1949-03
[9]
웹사이트
ドラマ らっこの金さん - NHK名作選(動画・静止画)
https://www2.nhk.or.[...]
[10]
서적
有島武郎創作全集
新潮社
1939
[11]
뉴스
昭和の怪物
週刊現代
2023-10-16 # 추정 날짜. 연도만 표시되어 정확한 날짜를 알 수 없음.
[12]
서적
東宝特撮映画全史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